티스토리 뷰
목차
재산세 7월 고지서 받았나요?|2025년 납부 기한·할인받는 법 정리
매년 7월은 부동산 보유자라면 누구나 긴장하게 되는 시기입니다. 바로 재산세 고지서가 도착하는 달이기 때문인데요. 2025년에도 어김없이 7월 10일 전후로 재산세 고지서가 발송되며, 납부 기한을 놓치면 가산세까지 발생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는 2025년 재산세 납부 기한, 할인받는 방법, 감면 대상, 조회·납부 방법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📌 재산세란?
재산세는 부동산(주택·건물·토지 등)을 보유한 사람에게 매년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. 과세 기준일은 매년 6월 1일이며, 이때 부동산을 소유하고 있다면 7월과 9월에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.
- 과세 기준일: 2025년 6월 1일
- 납부 대상: 주택, 상가, 토지, 건축물 보유자
- 부과 주체: 해당 지역 시·군·구청
📅 2025년 재산세 납부 기한
올해도 예년과 마찬가지로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분할 납부됩니다.
납부 대상 | 납부 기간 |
---|---|
주택, 건축물, 선박, 항공기 | 2025년 7월 16일 ~ 7월 31일 |
토지 | 2025년 9월 16일 ~ 9월 30일 |
주택분 재산세가 20만 원을 초과하면, 7월과 9월에 1/2씩 나눠서 고지됩니다.
💸 재산세 할인받는 방법 3가지
① 자동이체 신청 시 세액 공제
금융기관 계좌 자동이체 또는 신용카드 자동납부를 신청하면 0.5%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.
② 모바일 납부 시 추가 혜택
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, 토스 등 간편 결제 앱으로 납부 시 소액 캐시백을 제공하는 이벤트도 많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.
③ 재산세 연납(일시납) 혜택
7월 고지서에 명시된 세액을 모두 한 번에 납부하면, 9월 고지분까지 함께 처리되어 납부 편의성이 높아집니다.
🔍 고지서 확인 및 납부 방법
📥 고지서 확인 방법
- 종이고지서: 7월 10일 전후 우편 발송
- 전자고지: 스마트위택스, 지방세입계좌 알림톡, 카카오·네이버 전자문서
💳 납부 방법
- 위택스(www.wetax.go.kr)
- 지방세입계좌 이체 (입금은행 ‘서울시’ 등)
- 카카오페이, 네이버페이, 토스 등 간편 결제 앱
- 은행 CD/ATM기
TIP: '지방세입계좌'는 은행 앱에서 수취인명을 '서울시', '강남구청'처럼 입력하면 세금 계좌로 자동 연결됩니다.
⚠️ 납부 기한 놓치면 가산세 폭탄!
2025년 7월 31일까지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3%의 가산금이 부과됩니다. 여기에 30일이 지나면 매월 0.75%의 중가산금까지 붙습니다.
즉, 단순히 하루 이틀 늦었다고 해서 끝이 아니며, 계속 지연될수록 체납자 불이익(부동산 압류, 신용등급 하락 등)까지 생길 수 있으므로 기한 내 꼭 납부해야 합니다.
✅ 감면 대상자도 확인하세요
- 1세대 1 주택 고령자 또는 장기보유자: 최대 50% 감면
- 저소득층, 기초생활수급자: 일부 지역 감면 조례 적용
- 재해 피해자: 증빙 제출 시 감면 가능
위택스 홈페이지 또는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 나에게 적용되는 감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📎 함께 보면 좋은 글
🔔 마무리
7월은 재산세 납부의 달입니다. 2025년에는 7월 31일까지 반드시 납부하시고, 감면 대상이거나 자동이체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엔 꼭 챙기시기 바랍니다.
📌 지금 바로 위택스에서 고지서 확인하기
'부동산 & 재테크 & 세금과 대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025년부터 바뀐 연체정보 등록 기준|채무자 불이익 총정리 (0) | 2025.07.08 |
---|---|
2025년 DSR 규제 확대 총정리|연소득별 대출 한도 계산법 (1) | 2025.07.07 |
2025년 대출규제 이렇게 바뀐다|신용대출 받을 수 있는 기준은? (0) | 2025.07.07 |
2025년 4대보험 부담금 바뀐다! 월급 실수령액 달라지는 이유는? (0) | 2025.07.07 |
2025 여름 전기요금 폭탄 피하는 5가지 절약법|누진제 피해가려면? (0) | 2025.07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