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반응형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025년 은행 스테이블코인 시대|CBDC와 다른 점은?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은행도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?|CBDC와의 차이점 총정리

     

     

    스테이블코인은 더 이상 스타트업이나 암호화폐 프로젝트만의 전유물이 아닙니다. 이제는 전통 금융기관과 상업은행까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시대가 도래했습니다.

    그러나 많은 분들이 혼동하는 부분이 하나 있습니다. CBDC(중앙은행 디지털화폐)와의 차이점은 무엇일까요? 이 글에서는 실제 은행이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 사례를 중심으로, CBDC와 어떻게 다른지 조목조목 비교해 드리겠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💡 스테이블코인의 기본 개념 복습

     

     

    • 스테이블코인(Stablecoin): 가격이 달러 등 법정화폐에 고정되어 있는 암호화폐. 변동성이 낮아 결제 및 송금에 적합.
    • CBDC(Central Bank Digital Currency): 중앙은행이 직접 발행하는 디지털 법정화폐. 국가 단위의 화폐 정책 수단.

     

    두 개념 모두 '디지털 통화'이지만, 발행 주체, 기술 구조, 법적 지위에서 큰 차이가 있습니다.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🏦 은행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, 실제로 있다?

     

     

    1. JP모건 — JPM Coin

     

    • 출시 시기: 2020년부터 내부결재용으로 도입
    • 특징: JP모건 고객 간의 실시간 송금 및 결제에 사용
    • 기술: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'Onyx' 기반

     

    2. 시티그룹 — Regulated Liability Network (RLN)

     

    • 기획 단계: 미국 연방준비제도와 협력해 연구 중
    • 목표: 민간 스테이블코인과 CBDC 중간 모델 역할

     

    3. 일본 미즈호은행 — J-Coin

     

    • 특징: 1 J-Coin = 1 엔으로 고정
    • 용도: QR코드 기반 오프라인 결제, 이체

     

     

    🔍 스테이블코인 vs CBDC — 완벽 비교

     

     

    구분 스테이블코인 CBDC
    발행 주체 민간 기업, 은행 중앙은행 (정부)
    법적 지위 일반 자산 (예치금 기반) 공식 법정화폐
    가격 안정 방식 달러 등 법정화폐와 1:1 연동 법정화폐 자체이므로 고정
    이자 수익 없음 또는 DeFi 연동 없음 (통화정책 도구)
    사용처 거래소, 결제, 해외송금 내수 결제, 세금 납부, 급여 지급 등
    거래 추적성 부분 익명성 완전 추적 가능 (프라이버시 이슈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🤔 왜 은행이 굳이 스테이블코인을 만들까?

     

     

    은행 입장에서는 다음과 같은 이유로 자체 디지털화폐를 도입합니다:

     

    • 1. 글로벌 결제 속도 향상 (SWIFT 시스템 대체)
    • 2. 수수료 절감 (중개기관 제거)
    • 3. 고객 간 자산 이전의 유연성 확보
    • 4. 블록체인 기반 금융 인프라 실험

     

     

    📈 국내도 도입될까? — 한국 시범 사례는?

     

     

    • 한국은행은 현재 CBDC 시범 테스트를 완료했으며, 금융결제원, 주요 은행과의 협력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.
    • NH농협, 신한은행 등 일부 은행은 자체 디지털화폐 도입 가능성도 검토 중입니다.

     

     

    📌 투자 및 실생활 활용 시 유의할 점

     

     

    1. 스테이블코인은 ‘안정성’이 핵심이지만, 100% 안전하진 않다. → 디페깅 사례 참고: 스테이블코인 투자, 진짜 안전할까?|디페깅 사태 사례 분석
    2. CBDC는 정부 주도 시스템이기 때문에 강제 도입 가능성 있음
    3. 은행 발행 코인은 대체로 내부 시스템 또는 특정 고객군 대상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📚 함께 보면 좋은 글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✔️ 앞으로 은행이 발행하는 디지털 자산은 우리의 금융생활에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. 여러분은 CBDC와 스테이블코인 중 어느 쪽이 더 나은 미래라고 생각하시나요? 댓글로 의견 남겨주세요!